단리와 복리 차이! 72의 법칙 이자 계산법

단리와 복리의 차이
단리와 복리의 차이

저축을 시작한 사회 초년생은 예적금에 가입할 때 금리만 높으면 좋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절대 그렇지 않다. 은행은 최소한의 이자만 지급하기 위해 겉으로 보기에만 괜찮아 보이는 금융 상품을 많이 만들어 낸다. 저축은 안 하겠다면 상관없지만, 저축을 할 거라면 최대한 많은 이자를 받아 내는 전략을 짜야 한다. 그것이 프로 저축러의 자세다. 저축은 이자를 덜 주려는 은행과의 싸움이라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프로 저축러가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이자 지급 방식인 단리 복리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다.

단리 복리 차이! 이자 계산 방법

단리 이자 지급 방식
단리 이자 지급 방식

단리 계산공식:
원금 x ( 1 + 금리 x 기간 )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단리로 연 3%, 1년 만기 정기 예금에 120만 원으로 가입했다면, 만기일이 세전 36,000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복리 이자 지급 방식
복리 이자 지급 방식

복리 계산공식:
원금 x ( 1 + 금리 ) ^ 기간

복리는 원금과 더불어 원금에 대한 이자에도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월 복리 연 3%, 1년 만기 정기 예금에 120만 원으로 가입했다면, 만기일에 세전 36,499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복리 이자가 더 많은 이유는 단순히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금리가 동일한 경우 단리보다 복리가 압도적으로 좋은 상품이다. 그러나 은행은 이자를 주기 싫어하므로 대체로 단리 상품보다 복리 상품 금리가 더 적다. 복리라는 말에 맹목적으로 가입하지 말고 만기일에 실제 이자를 얼마나 받게 되는지 직접 계산해 봐야 한다.

복리 기간

복리 주기
복리 주기

복리 상품에 가입할 때는 이자율도 중요하지만 복리 주기도 중요하다. 연 복리는 1년 단위로 발생한 이자에 대해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이고, 월 복리는 매달, 일 복리는 매일 발생한 이자에도 이자를 지급한다. 당연히 복리 주기가 짧을수록 좋다. 그래야 이자에 바로바로 이자가 붙을 수 있다.

하지만 일 복리 상품은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복리의 마법! 아인슈타인의 72의 법칙!

아인슈타인 복리의 마법
아인슈타인 복리의 마법

여덟 번째 세계 불가사는 바로 복리다. 복리를 이해하는 자는 돈을 벌고 그렇지 못하는 자는 지불하게 될 것이다!

72의 법칙(정확히는 69.3의 법칙이다)은 복리의 마법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하는데, 자산을 두 배 늘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72를 연간 복리 이자율로 나눠 나온 값이 자산을 두 배로 늘리는 데 걸리는 시간이라는 의미다. 예를 들어 120만 원을 연 복리 3%로 저축하면 24년 후(72/3=24) 240만 원이 된다는 의미다.

금리가 높을수록 자산을 2배로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가능한 금리가 높은 복리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